위대한 대화

인문고전 독서토론을 한다는 것은 ‘위대한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대한 대화’에 참여하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인문고전 독서토론 활동에서 가장 큰 난관은 고전이 주는 텍스트의 난해함이다. 초등학생과 중학생 그리고 고등학생들은 인문고전을 읽고 싶어도 어려운 텍스트로 인하여 시작부터 포기하고 만다. 이처럼 입문하기 힘든 인문고전 독서토론을 학령에 따라 적절하게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독서토론이 트리비움 기반에 SWCE 방식의 인문고전 독서토론이다. SWCE 방식의 인문고전 독서토론 모형은 누구나 ‘위대한 대화’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이다.

트리비움

트리비움(三學, 라틴어: trivium)은 중세시대에 서양의 대학교에서 가르쳤던 자유과의 큰 두 갈래 중 하나이다. 트리비움은 쿼드리비움(四科, quadrivium)의 기초로서 수학했던 학문이며, 문법(grammar), 논리학(logic), 수사학(rhetoric)으로 구성된다.

트리비움 기반의 인문고전 독서토론은 많은 상징성을 가진다. 특히 중세에도 그랬듯이 더 높은 학문을 수학하기 위해서는 트리비움은 필수 코스이다. 독서 활동은 학문을 탐구하거나 미래를 통찰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 배경지식을 쌓는 활동으로 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독서 활동 과정에서 트리비움을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 체계적으로 습득된 트리비움은 학생들이 세상을 헤쳐나가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질 것이다.

독서 활동의 과정을 통해서 얻어야 하는 부분을 압축적으로 잘 표현한 것이 트리비움이다. 또한 독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이정표를 알려주는 것도 트리비움이다. 특히 난해한 인문고전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해한 내용으로 자신의 관점을 만들고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 토론을 하고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들은 트리비움과 동일하다.

잃어버린 배움의 도구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주입식 암기 위주의 학습 방식이다. 이러한 교육방식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할 때까지만 유효하다. 그렇다면 대학 이후의 삶은 어떻게 할 것인가?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진 학생들이 대학에 들어와서 가장 적응하기 힘들어하는 교육 활동이 있다. 글쓰기와 토론 그리고 발표이다. 이 세 가지 영역이 트리비움의 핵심이다. 트리비움은 학습의 능률을 올리고 더 높은 세상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영국의 소설가이자 언어학자인 도로시 세이어스(Dorothy Leigh Sayers)는 1947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잃어버린 배움의 도구’(The Lost Tools of Learning)라는 주제로 역사에 남을 만한 연설을 했다. 이 연설에서 도로시 세이어스는 현대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트리비움의 문법(grammar), 논리학(logic), 수사학(rhetoric)은 사실 과목이 아니라 과목들을 다루고 배우는 수단이나 방법이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도로시 세이어스는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스스로 배우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고 이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교육은 헛된 노력일 뿐이다”라고 말했다.

SWCE 방식 인문고전 독서토론은 고대 그리스의 파이데이아 교육의 근간이 되었던 트리비움을 인문고전 독서토론에 적용시킨 모형이다.

SWCE 방식 인문고전 독서토론 단계

1단계 배경지식 넓히기(Schema)

연령 별로 세분화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핵심 개념어를 이해하고 텍스트를 해제하는 과정을 거쳐 텍스트 전체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인문고전 독서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하고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단계

2단계 지혜를 얻는 활동(Wise)

자기주도적 학습 단계로 1단계에서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독서를 하면서 새롭게 얻은 지식을 분석하며 비판적으로 읽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관점을 정립하는 단계

3단계 비판적 사고 활동(Critical Think)

텍스트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자신의 관점과 다른 사람들과 토론 활동을 하면서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이론을 만들어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단계

4단계 표현 활동(Express)

새롭게 알게 된 지식과 자신의 관점을 정리하여 감성과 논리를 바탕으로 공감을 얻어낼 수 있는 표현능력을 기르는 단계

문법(grammar), 논리학(logic), 수사학(rhetoric)의 트리비움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1000년 역사를 지탱하게 해준 교육의 뿌리이다. 트리비움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면서 철학자이자 교육학자인 존 듀이(John Dewey)의 등장과 함께 교육이 진보적으로 바뀌게 되면서 서서히 퇴조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아이들의 학습능력도 동시에 떨어졌다. 도로시 세이어스는 학문 탐구의 르네상스를 ‘잃어버린 배움의 도구(The Lost Tools of Learning)’를 통해 제시했다.

우리나라 교육에서도 새로운 교육이론이 속속 등장했지만 짧은 순간 조명을 받고 순식간에 사라지는 인스탄트식 교육이었다. 생각하지 않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흔들림 없는 진정한 학문의 도구가 트리비움이다. 트리비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지식의 수명이 더 짧아지는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새로운 세상에 빠르게 적을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이다.